Thursday, December 15, 2011

디젤 캠(Diesel Cam)

디젤 캠(Diesel Cam)
 그 동안 제품 및 서비스 구매와 관련해서 지인들의 추천을 받기 위해서는 같이 쇼핑을 가거나, 전화를 걸어 의견을 물어야 했다. 그러나 클릭 한번으로 추천에 대한 정보가 유통되는 SNS 상에서는 지인들의 추천정보를 매우 손쉽게 실시간으로 접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Until now we had to go shopping with our friends to receive their recommendations about products and services consuming. But in now, we can access easily by just one click to acquire recommendations from our friends on our real time by SNS.

Friday, October 28, 2011

9만 9900원 vs 150만원, 다운점퍼 가격의 진실은



뉴스 > 전체 > 종합 프린트  이메일 전송 
 
9만 9900원 vs 150만원, 다운점퍼 가격의 진실은
기사입력 2011.10.27 17:08:16 | 최종수정 2011.10.27 21:10:05트위터 미투데이 블로그 스크랩
유니클로의 `울트라 라이트 다운점퍼`. 무게 199g, 다운 혼용률 90%인 이 제품은 가격이 9만9900원이다. 유니클로는 `울트라 라이트 다운점퍼`가 `가볍고 따뜻한` 제품이라는 점을 내세우고 있다.

반면 몽벨이 다음달부터 판매하는 `아이더 다운점퍼` 가격은 150만원. 아이더 오리의 솜털로 만들어 보온성이 높고 발수ㆍ방풍ㆍ투습 기능이 뛰어난 소재를 사용한 고기능 제품이라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27일 매일경제신문이 시중에 판매되는 주요 다운점퍼 브랜드를 분석해 본 결과 다운점퍼는 다운 무게와 브랜드, 원부자재, 기능 등에 따라 가격이 천차만별이었다. 최고가 제품이 최저가에 비해 약 15배나 비싼 것. 최저 9만9900원부터 최고 150만원까지 큰 격차를 보였다.

겨울을 앞두고 쏟아지는 다운점퍼에 고가 마케팅 논란이 불붙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국내 기후와 생활방식 등을 고려했을 때 필요 이상으로 기능을 높인 고사양 제품들이 잇달아 출시되고 있다"며 "일반인들은 다운점퍼의 기능과 품질 등의 정보를 잘 알지 못하기 때문에 고가 마케팅 논란이 일고 있다"고 말했다.

일반적으로 다운점퍼를 고를 때는 △다운의 종류 △무게 △필파워 △솜털과 깃털의 비율(솜털 비중이 높을수록 고급) △방수ㆍ투습ㆍ방풍 기능 등이 기준이 된다.

무게에 따라 슬림다운과 헤비다운으로 구분되는데 슬림다운은 140g 이내, 헤비다운은 300g 이상으로 분류된다. 무거울수록 다운 충전재가 많이 들어 있어 보온성이 높다. 필파워는 다운의 복원력을 뜻하는데, 일반적으로 600 이상은 고급, 800 이상은 최고급 다운으로 분류한다.

다운점퍼는 브랜드에 따라 가격이 큰 차이를 보였다. 특히 헤비다운의 경우 최대 100만원 가까이 가격이 벌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스페이스의 대표 헤비다운 `히말라얀파카`는 69만원인 데 비해 전문가 라인 `뮤어 재킷`은 135만원에 이른다. 코오롱스포츠는 대표 제품 `벤텀` 가격을 59만원, 11월 출시 예정인 `우모`는 75만원에 책정했다. K2는 `클라이밍 윈드스토퍼`가 48만원, `볼케이노`는 98만원에 선보인다. 몽벨의 `아이더 다운`은 150만원이다.

이에 대해 몽벨 관계자는 "아이더 다운은 일반 제품과 달리 아이슬랜드와 그린란드 해안에서만 자라는 아이더 오리 털을 자연친화적인 방식으로 채취해 만들어 희소가치가 높다"며 "전 세계적으로 연간 채취량이 2000㎏에 불과해 원가 자체가 매우 비쌀 수밖에 없다"고 해명했다.

필파워의 기준도 논란이 되고 있다. 일상생활에서는 필파워가 600~700 이상이면 충분하다는 게 업계 전문가들 설명이다. 유통업계 아웃도어 담당 바이어는 "일상생활에서는 필파워 600~700 이상이면 보온 기능이 충분하고 그 이상은 큰 의미가 없다"며 "국내에서는 필파워가 일종의 마케팅 수단으로 변질돼 사용되는 것 같다"고 말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도 "첨단 소재와 다양한 기능들은 일반 소비자들에게는 크게 필요가 없다"며 "오히려 아웃도어 가격 상승 요인으로 꼽힌다"고 꼬집었다.
실제 유통 매장에서 만난 소비자들은 다운점퍼의 기능에 대해서는 잘 알지 못했다.

지난 25일 명동의 한 유통매장에서 만난 대학생 김한석 씨(29ㆍ가명)는 "브랜드와 가격을 중심으로 제품을 고르고 있다"며 "기능적인 측면은 너무 복잡해서 잘 알지 못한다"고 말했다. 매장 직원에게도 필파워, 다운 무게 등 다운점퍼 기능에 대해 문의했으나 돌아오는 대답은 "모르겠다"였다.

한국소비자원에 접수된 다운점퍼 관련 상담 건수는 2007년 165건, 2008년 221건, 2009년 293건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다. 특히 외관과 내구성 등 품질 불만에 상담이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용어설명>

필파워(Fill Power) : 다운 1온스(약 28g)가 차지하는 부피를 나타낸 수치. 24시간 압축한 후 압축을 풀었을 때 밀려 올라오는 부피로 수치가 높을수록 공기를 함유하는 층이 두꺼워 보온력이 높아진다. 필파워가 800이라고 하면 1온스의 다운이 800세제곱인치(13.1ℓ)까지 부풀어오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유주연 기자] 

Thursday, October 6, 2011

50 Innovations in Retail


Amazon's Smart Innovation Strategy


Amazon's Smart Innovation Strategy

Amazon shows how it is possible to build a business with the capability to transform itself

Building a great business and operating it well no longer guarantees you'll be around in 100 years, or even 20. In 1958, the average length of time a company remained on the S&P 500 was 57 years; by 1983, it had dropped to 30 years; in 2008, it was just 18.
Shorter business life cycles require a new sort of management discipline capable of leading an organization through an ongoing process of transformation and renewal. To thrive in today's marketplace, to be built to last, every business now must be built to transform.
Consider Amazon (AMZN), which emerged from the dot-com bubble one of the few winners and continued to blaze a trail of impressive growth (from about $4 billion in 2002 to nearly $20 billion in 2008). One of the most unexamine facets of Amazon's high-profile success is its unabashed embrace of transformational growth in its white space. Amazon survived the dot-com bust because it had a viable and innovative business model built around a market-changing customer value proposition and a radical profit formula, which upended the staid book industry. Then it quickly expanded beyond books to include all sorts of easily shippable consumer goods, growing from its core into near adjacencies. But Amazon didn't stop there.
A few years later, the company seized its white space when it devised a new value proposition, offering a commission-based brokerage service to buyers and sellers of used books. Then it moved into its white space again by developing a model to serve an entirely different customer: third-party sellers. By opening up its storefront to other retailers that were essentially competitors, Amazon transformed its business from direct sales to a sales-and-service model, aggregating many sellers under one virtual roof and receiving commissions from the other companies' sales.
Then Amazon did it yet again, identifying a new area of potential growth by finding another new customer—the IT community. Serving this new customer's needs required different processes, different resources, and a different profit formula—in short, another new business model. In 2002 Amazon launched a web services platform. Perhaps it was risky for a young company that had only reached profitability in that same year to invest its innovation resources in new business models rather than stick to its core, but within five years the site used by Amazon's web-services platform had grown into the seventh-largest in the world. And Amazon kept going. In late 2007, it set up Lab126, whose first product, the Kindle e-book reader, came to market wrapped in a business model not only foreign to Amazon's DNA but also potentially disruptive to the entire publishing industry.
To launch this high-margin, product-based offering, Amazon had to become an original equipment manufacturer (OEM). It wrapped this technology in a seamlessly integrated iTunes-type digital media platform that combined both transaction- and subscription-based content delivery. It partnered with content producers in innovative ways and created an open back-end that allowed independent publishers to generate new content for the Kindle. In its first year, Amazon sold an estimated 500,000 Kindles. Amazon has greatly expanded the market for e-books and positioned itself for success not only in this market but in newspaper and periodical distribution as well.
Amazon at its roots is built to transform. When it finds opportunities to serve new customers, or existing customers in new ways, it conceives and builds new business models to exploit them. Amazon has the unique ability to launch and run entirely new types of businesses while simultaneously extracting value from existing businesses.

Amazon's journey forward will likely be marked by a series of transformations, as it continues to pursue its vision unafraid of white space, business model innovation, or renewal.
To be built to transform requires the courage to focus on delivering value for the customer first. Identifying value begins by thinking of an important unserved or underserved job that customers want done and then coming up with a well-defined value proposition to address that job, however foreign to your current offerings that may be. "If you want to continuously revitalize the service that you offer to your customers, you cannot stop at what you are good at," says CEO Jeff Bezos. "You have to ask what your customers need and want, and then, no matter how hard it is, you better get good at those things." With a well-defined customer value proposition serving a focused, well-articulated job, business leaders and project teams can work together to design the appropriate profit formulas, key resources, and key processes the company needs to thrive.
To do this, business leaders need to become business model thinkers, to understand that both the current model underpinning their existing business and any new models they may devise are complex systems with interdependent elements that must work together to deliver real value. To build these systems, they must think like architects or engineers, to begin with blueprints, build prototypes, and develop working structures that can deliver on new areas of opportunity. Although they can't devise all the answers up front, they can ask the right questions. Then they must pursue those answers like an artist would, exploring with a process of structured creativity that allows everyone involved to freely imagine the possible, not just the easily done.
Business model innovation thrives in cultures of inquiry, environments in which new value propositions, new ways to turn a profit, and ideas for new business models are met with interest and encouragement. In built-to-transform companies, managers recognize that becoming is part of being, and that the road to the next big thing can be traveled only by those with open minds.
This article is excerpted from Seizing the White Space: Business Model Innovation for Growth and Renewal by Mark W. Johnson (Harvard Business Press, February 2010).
Provided by Strategy and Innovation—published twice-monthly by Innosight, an innovation consultancy. Innosight's approach and proprietary tools facilitate the discovery of new, high-growth markets and the rapid creation of breakthrough products and services.

Wednesday, September 21, 2011

Fashion chains H&M and Zara launch online operations


Fashion chains H&M and Zara launch online operations

• Zara will go live on 2 September and H&M two weeks later
Shoppers wait outside H&M on Regent Street
Shoppers outside H&M store in London, from next month they will be able to buy their outfits online. Photograph David Levene for the Guardian
Fashion chains H&M and Zara are set to unveil online stores next month, hoping to buck the increasingly gloomy trend on the high street.
Zara, owned by Spanish company Inditex, will launch its website simultaneously in the UK, France, Spain, Italy and Portugal on 2 September. Zara already sells a home range online, but its revamped website will offer fashion lines which have only been available in its stores.
H&M's online venture will go live a fortnight later with clothing for women, men and children shown alongside its new range of homewares, including bed linen.
Several retailers have warned that consumer confidence is waning as people worry about their jobs amid talk of savage cuts in public sector spending and employment, which is having a knock-on effect on the private sector.
Next said last week that consumer spending is slowing down and is likely to be further constrained in the coming months as the government's austerity measures take hold and next year's rise in VAT keeps shoppers away from the high street.
Online fashion sales, however, are proving remarkably resilient. At Next, for instance, while first-half sales at stores open for at least a year fell 1.5%, its Next Directory home shopping business saw sales rise 7.8% – up from 7.2% earlier in the year.
Zara and H&M are two more in a long line of fashion stores that have moved into the online retail market.
The majority of high-street shops already have online presence, including frontrunners Topshop and New Look.
Zara first opened its doors to the British public in 1998 and is known for its speed in delivering catwalk styles to high-street consumers.
The company made a small profit in the year to the end of January 2010, after recording a loss of £20m in the previous year.
Swedish owned H&M, meanwhile, is the world's third-largest clothing retailer with an extensive network of outlets across the UK. Its collaborations with notable designers in recent years have been sell-out successes, including its diffusion lines with Karl Lagerfeld and Matthew Williamson, along with its 2007 swimwear collection with Kylie Minogue.

Thursday, September 15, 2011

S Korea luxury: beyond the obvious

Please respect FT.com's ts&cs and copyright policy which allow you to: share links; copy content for personal use; & redistribute limited extracts. Email ftsales.support@ft.com to buy additional rights or use this link to reference the article - http://blogs.ft.com/beyond-brics/2011/09/13/luxury-in-s-korea-look-beyond-the-obvious/#ixzz1XwUdaZIC

S Korea luxury: beyond the obvious

Louis Vuitton’s handbags have gone from a phenomenon in Korea to a bit of a joke. They are called the “three-second bags” or “five-second bags” because that’s how often you see one in the hands of fashion-conscious women (and their boyfriends who have to carry the handbag on a date).
McKinsey’s latest report on luxury goods concludes that there’s now an important shift in the fashion-savvy Korean market, which was worth $4.5bn last year.
People used to buy brands to show they were keeping up with trends and to show off that they had cash to flash. Now, McKinsey’s latest survey suggests people are buying brands to stick out from the crowd, not be part of the craze.
Koreans have tended to buy luxury goods as a way of signaling social status and for self indulgence. People wanted other people to know that they were wearing something expensive, so they bought famous brands, often with conspicuous logos or labels. That attitude is becoming passé with dizzying speed; in 2011, 45% of those surveyed agreed that “owning luxury goods is not as special as it used to be,” compared to just 21% in 2010. As a result, Koreans are beginning to think more about differentiation than display; 39% of heavy buyers and 26% of all respondents say that “I increasingly prefer luxury brands or items that help me stand out from the crowd.”
This is certainly tangible even in supermarkets like Tesco and E-Mart, where there is a remarkable focus on supplying branded, individualistic clothing products, rather than the ultra-cheap basics you might expect from their equivalents in the West. Koreans shop online at eBay’s GMarket for basics and go to the stores for their bling.
Supermarkets aren’t cheap in Korea, but it’s the department stores where the de luxe action is. Department store sales were up 30 per cent in the first four months of 2011, compared with last year.
The big three – Hyundai, Lotte and Shinsegae (Samsung) – are planning major expansions outside Seoul. McKinsey suggests the department stores have got to prioritise the “heavy spenders” (who sound ominously rather like wives of executives at the big conglomerates (chaebol) and their kids).
For example, Lotte department store estimated that the number of “Most Valuable Customers”—those who spend 15 million won ($14,000) or more a year—rose 14.4% in 2010, compared to 9.2% for other kinds of luxury consumers. The number of VIP customers at Shinsegae department store —those who spend more than 8 million won ($7,400) —grew 35%, compared to 12% for other consumers.
McKinsey notes there is also strong potential for men’s luxury goods, which still only account for 9 per cent of the luxury market – half of the level in Japan. The boom in men’s cosmetics certainly suggests there’s room in that market.
Young people are also rapidly turning into fashion victims.
Sales to 20-somethings rose at a stunning annual rate of 74% from 2005-10, compared to 9% for 50- to 60-year olds.
What McKinsey shows is that Korea is still a good place for fashion houses – luxury sales have been up about 12 per cent each year since 2006 – but they must adapt to changing trends.
Intriguingly, several luxury goods makers note Korean culture is becoming so hip around Asia and beyond thanks to TV dramas and music, that they need a strong foothold in Seoul to identify trends that could spread from there.
But there’s also an unhappy dimension to luxury in Korea, as the gulf between rich and poor becomes increasingly severe.
Beyondbrics knows one middle-income family who will discuss driving long distances to save a few dollars on mackerel, but feel they also have to buy Paco Rabanne shirts because you have to present “face” in society.
Children are also damaged by the pursuit of luxury. Kids from chaebol families go to department stores armed with credit cards for fun after school. Poorer mums are reduced to tears when their children demand similar cards the family cannot afford. Most bizarrely, there has been almost a grotesque insistence among kids in Korea that the high-price is the most important thing. One son threw a tantrum when his father bought him some trendy jeans at a discounted store. The point of luxury was to pay the full price, the son explained to the bemused father.
Thankfully, McKinsey suggests progress is being made here and that Koreans are, at last, beginning to bargain hunt for luxury products.
While the McKinsey survey shows that Koreans (and heavy purchasers, in particular) are still more likely than the Japanese, Europeans or Americans to be willing to pay full price for luxury, at the same time, more and more are seeking out bargains.
Some sanity there, at least.
Related reading:
Brazilian shoppers: no fear of recession, beyondbrics
Luxury on the Trans-Siberian express, beyondbrics
Chinese tourist fuel Hong Kong retail, beyondbrics
China’s women show taste for fast cars and whisky, FT

Wednesday, September 7, 2011

`자라` 美서 온라인 판매…`잠못드는` 패스트패션 업계


`자라` 美서 온라인 판매…`잠못드는` 패스트패션 업계

입력: 2011-09-06 17:11 / 수정: 2011-09-07 02:22
H&M도 내년 웹스토어 개설
스페인의 패스트패션 기업 인디텍스가 7일(현지시간) 미국에서 대표 브랜드 '자라(Zara)'의 온라인 판매를 시작한다. 이에 따라 갭,애버크롬비,H&M 등 경쟁 패스트패션 업체들과 온라인 시장에서 한판 승부가 불가피하게 됐다고 월스트리트저널이 6일 보도했다.

미국 소비자들은 경기침체로 매장 쇼핑을 줄이면서도 온라인 쇼핑에는 지갑을 열고 있다. 미국 인구조사국이 최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2분기 미국의 온라인 소매시장 규모는 442억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17% 증가했다.

컨설팅회사인 포레스터는 온라인 소매시장이 2014년 2050억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아직 미국에 매장을 49개밖에 운영하고 있지 않은 자라가 온라인 판매 시장을 우선 공략하기로 한 것도 이 같은 이유에서라는 설명이다.

미국의 경쟁사들은 이미 온라인 시장에 공격적으로 뛰어들었다. 애버크롬비는 전체 매출의 11%를 온라인 판매를 통해 기록하고 있다. 10년 전부터 인터넷 판매를 실시해온 갭은 매출의 9%를 온라인이 차지하고 있다.

자라의 유럽 경쟁사인 스웨덴 H&M은 내년 봄 미국에서 온라인 판매를 위한 웹스토어를 개설할 계획이다.

경쟁사들이 자라의 온라인 시장 진출에 유독 긴장하는 이유는 자라의 성장 방식이 온라인 판매 모델과 잘 맞아떨어지기 때문이다. 자라는 매장 직원이 디자이너에게 직접 전화해 소비자들의 제품 선호도를 알려주는 방식으로 패션 트렌드 변화에 긴밀하게 대응해왔다.

유행에 민감한 젊은 소비자들이 이미 자라의 아이폰 애플리케이션을 20만건이나 내려받은 것도 자라의 이 같은 성격 때문이다.

뉴욕=유창재 특파원 yoocool@hankyung.com 

[강현철의 시사경제 뽀개기]

[강현철의 시사경제 뽀개기]
유익한 곳!

Friday, September 2, 2011

[Cover Story] 세계 최대 아웃소싱업체 '리앤펑' 빅터 펑 회장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09/05/22/2009052201243.html


[Cover Story] 세계 최대 아웃소싱업체 '리앤펑' 빅터 펑 회장

  • MSN 메신저 보내기
  • 뉴스알림신청
  • RSS
  • 글자 작게 하기
  • 글자 크게 하기
  • 프린트하기
  • 이메일보내기
  • 기사목록
  • 스크랩하기
  • 블로그담기
입력 : 2009.05.23 03:03 / 수정 : 2009.05.23 08:12

세계의 공장을 지휘하는 '글로벌 객주'
단추 중국서, 지퍼 일본서 꿰매기는 방글라데시서… 
공장 없이, 재봉사 없이 年 20억벌 의류 생산 
전 세계 3만여개 공장 오케스트라처럼 연결

홍콩을 대표하는 기업 중에 리앤펑(Li & Fung Ltd.)이란 회사가 있다. 의류와 장난감, 액세서리 등 소비재를 생산하고 수출하는 회사다. 작년 매출은 한화로 19조원이 조금 넘는다.

여기까지는 그리 놀랄 만한 이야기가 아닐지도 모른다. 삼성전자 매출의 4분의 1 정도이니 말이다. 그러나 지난해 비즈니스위크는 이 회사를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회사 29개 중 하나로 선정했고, 포브스는 아시아에서 가장 놀랄 만한 50개의 기업 중 하나로 꼽았다.

이 회사가 주목을 받고 있는 이유는 바로 독특한 비즈니스모델에 있다. 이 회사는 단 하나의 공장도 소유하고 있지 않으며, 단 한 명의 재봉사도 고용하고 있지 않다. 그러면서 매년 20억벌 이상의 의류를 생산한다.

방법은? 예를 들어 미국의 어느 의류회사가 이 회사에 남자 반바지 30만벌을 주문했다고 하자. 그러면 이 회사는 단추는 중국, 지퍼는 일본, 실은 파키스탄에 주문한다. 파키스탄에서 받은 실은 중국에 보내 직물로 짜서 염색하게 한다. 이 모든 것을 꿰매는 일은 방글라데시의 공장에 맡긴다. 고객이 빠른 배달을 원하기 때문에 세 개의 공장에서 나누어 작업한다.

이 회사는 이런 방식으로 전 세계 40개국에 퍼져 있는 3만개의 공급업자(공장)와 200만명 이상의 공급업체 직원들을 움직인다. 이 회사가 직접 월급을 주는 종업원은 그 1%도 안 된다.

 그래픽=김의균 기자 egkim@chosun.com
이 회사의 모토는 이렇다. "원하는 것이 무엇이든 말만 하십시오. 그러면 당신에게 맞는 '가상의 공장'을 만들어 드리겠습니다. 3만개의 공급업자로 이루어진 네트워크가 중국 시안(西安)의 진시황 무덤을 지키는 적갈색 군인들처럼 준비돼 있습니다."

지난달 홍콩 리앤펑 본사의 쇼룸을 방문하니 마치 작은 백화점 같았다. 코카콜라와 디즈니로부터 토이저러스, 막스앤스펜서, 카르스타트켈레(독일 의 대형 백화점)에 이르기까지 세계적 기업들의 브랜드를 단 옷이며 장난감이며 액세서리들이 전시돼 있었다. 모두 리앤펑의 고객 기업들이다. 이 회사가 관리하는 브랜드만 900개가 넘는다.

경영계에서는 이 회사가 하는 일을 '공급사슬 관리(Supply Chain Management·SCM) 서비스'라고 표현한다. 제조 원가가 싼 공장을 찾는 것은 이 회사가 하는 일의 일부에 불과하다. 디자인, 원자재 조달, 제조 관리, 운송, 통관에 이르기까지 고객사가 원하는 모든 일을 대행한다.

리앤펑그룹의 빅터 펑(Fung·64) 회장은 자신을 오케스트라의 지휘자에 비유했다. "오늘날 경쟁이란 기업 대 기업이 아니라 팀 대 팀, 즉 하나의 공급사슬과 다른 공급사슬 간의 경쟁을 의미합니다. 이때 중요한 것은 지휘자의 역할입니다. 오케스트라 지휘자가 재능 있는 음악가들을 이끌어가는 것처럼, 강한 공급업자의 네트워크를 설계하고 이끌어가는 키잡이가 필요합니다."

한국의 경영자들이 이 회사로부터 배울 점은 크게 두 가지일 것이다. 첫째, 제조업체들의 경우 중국이나 동남아시아 기업의 거센 도전을 받고 있어 새로운 생존 논리가 필요하다. 공장을 소유하지 않더라도 공급사슬 관리를 통해 부가가치를 창조하는 리앤펑식 기업 운영은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우리 대기업들도 많은 협력업체를 두고 있지만, 종종 강압적이라는 비판을 받는다. 그런 기업들은 협력업체 관리를 업(業)의 요체로 삼는 리앤펑의 철학과 노하우에서 배울 것이 있을 것이다.

펑 회장은 수십년간 시행착오를 통해 이룩한 리앤펑의 비즈니스모델을 최근 책으로 풀어냈다. '평평한 세상에서의 경쟁 전략(원제: Competing in a flat world)'이 그것이다.

―책을 보면서 마치 토머스 프리드먼의 '지구는 평평하다(The World is flat, 2005년)'의 실전 매뉴얼 같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이 책에서 말하려 했던 것은 무엇인가요?

"프리드먼의 책을 읽었을 때 매우 흥미를 갖게 됐습니다. 그가 묘사하는 세계가 제게 매우 친숙했기 때문이죠. 우리는 지난 20년간 그런 세계에서 일해 왔으니까요. 그의 말대로 세계가 평평해진다면 어떻게 글로벌 기업을 만드는가 하는 것이 바로 제 책이 대답하려 한 것입니다. 그 가장 효율적인 방법은 내가 모든 것을 소유하는 것이 아니라 글로벌 공급사슬을 편성해서 팀으로 움직이는 것입니다."

펑 회장의 프로필을 보면, 도대체 부족한 게 무엇인가 하는 생각이 들 정도이다. 그는 16억달러(약 2조원)의 재산으로 포브스의 홍콩 부자 랭킹 12위에 올랐다. 게다가 그는 하버드대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고, 하버드 경영대학원 교수를 역임했다. 그는 파리에 본부를 둔 국제경제협력기구인 국제상업회의소(ICC) 회장을 맡고 있으며, 2003년 홍콩 행정수반 선거 때 후보로 거론되기도 했다. 그럼에도 그는 마치 옆집 아저씨 같은 친근한 인상이었고, 인터뷰 내내 편안하고 소탈한 모습을 보여줬다. 질문에 대해 대답할 때는 그대로 받아 쓰면 책이 될 수 있을 정도로 짜임새가 있어서 학자의 면모가 묻어났다. 
 빅터 펑 회장은“과거에 기업들은 모든 것을 다 스스로 하려 했지만, 이제는 모든 것을 다 잘할 순 없다는 것을 깨달았다” 고 말했다. 그는“10가지 일 중 잘하는 3개만 집중하고 나머지 7개는 파트너(협력업체)에게 아웃소싱할 수 있다”면서“각 기 자신이 잘하는 일에 특화된 기업들로 팀을 짜면 경쟁력을 크게 높일 수 있다”고 덧붙였다. / 손정호 포토 저널리스트
빅터 펑(Fung) 회장은 자신들의 방식은 도요타의 생산 모델과 비교된다고 말했다.
"도요타에선 협력기업의 모든 것이 매우 엄격하게 통제되지요. 반면 우리의 방식은 '느슨한 연계(loose coupling)'로 묘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어느 공급업체가 우리와 파트너가 됐을 때 우리는 그 업체가 우리를 위해서만 독점적으로 일하기를 원하지 않습니다. 우리는 그 업체의 100%가 아니라 30~70%만 원합니다. 물론 30% 이상은 돼야 중요한 파트너가 될 수 있겠죠.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100%를 원하지는 않습니다."
― 왜 그런가요?
"공급업체가 우리 말고 다른 사람하고도 일해야 새 아이디어가 생기고, 새로운 것을 배울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야 우리의 공급사슬도 살아 숨 쉬게 되죠. 늘 배우고, 늘 변화하면서 말입니다. 우리의 공급사슬은 종종 새로운 멤버를 넣고, 팀원이 바뀌기도 합니다.
팀이 폐쇄된 조직이 되어서는 안 됩니다. 그런 면에서 우리는 안정적이고 장기적인 파트너십을 추구하지만, 다른 한편으로 느슨한 네트워크이기도 합니다."
― 토머스 프리드먼을 만난 적이 있습니까?
"그는 제 좋은 친구입니다. 3~4년 전부터요. 하지만 그를 안 것은 더 오래됐죠. 1994년인가 1995년인가 기자이던 그가 홍콩에 와서 저를 인터뷰한 적이 있습니다."
― 기업이 공급사슬을 편성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입니까?
"우선 전체 공급사슬의 개념적인 틀을 잡고 시스템을 만드는 것이죠. 그리고 팀원 모두가 박자를 맞추어 가도록 지휘해야 합니다. 두 번째 포인트는 공급사슬이 글로벌해지는 만큼 여러 국적의 사람들을 다루고 함께 일하는 데 익숙해져야 한다는 것입니다.
― 그렇다면 피해야 할 것은 무엇입니까?
"공급사슬에 적대적인 관계가 나타나는 것입니다. 공급사슬에서 힘 있는 이가 자신의 이익만을 취하려 할 경우 이런 일이 생기게 됩니다. 적대관계는 공급업자의 창의성을 꺾고, 유연성을 떨어뜨리는 등 여러 가지 방식으로 공급사슬 전체의 효율성을 떨어뜨려 모두에게 손해가 됩니다."
이 대목에서 하청업체들을 너무 쥐어짠다고 비판받는 한국의 일부 대기업이 생각났다. 그의 의견을 물어봤다.
"축구를 혼자 할 수 없는 것처럼 네트워크는 공생(共生) 관계입니다. 바이어가 공급업자를 쥐어짜면 공급업자는 그다음 공급업자를 쥐어짜고, 그 공급업자는 또 그다음 업자에게 그렇게 하고 해서 모든 공급사슬이 그렇게 돼버립니다. 이렇게 모든 사람이 쥐어짜서는 안 됩니다. 일을 처리하는 옛날 식 방법이죠."
 홍콩 리앤펑 본사의 쇼룸 중 하나에서 리앤펑의 한 고객사 직원들이 디자인 작업을 하고 있다. 주요 고객사에는 별도의 쇼룸이 마련돼 리앤펑측과 협의나 상담을 하는 공간으로 활용된다. 가구나 도자 기 등 제품별 쇼룸도 있다. / 손정호 포토 저널리스트
■ 무역 중개에서 공급사슬 관리로 초점을 바꾸면서 비약적 발전
리앤펑은 1906년에 빅터 펑 회장의 할아버지가 중국 광저우에 설립했다. 처음엔 서구의 고객들에게 중국에서 만든 도자기와 비단을 수출하는 일을 했다. 2차 세계대전 이후엔 홍콩에서 만든 저가 의류와 장난감들이 추가됐다.
무역업을 주로 하던 이 가족 기업에 근본적인 개혁이 일어난 것은, 1970년대 초 빅터 펑 회장과 동생인 윌리엄 펑 사장이 미국 유학에서 돌아온 뒤였다. 두 사람은 단순 무역 중개에서 벗어나 전체 공급사슬을 관리하는 일로 사업의 초점을 바꾸었고, 부가가치를 크게 높일 수 있었다. 거세게 몰아친 글로벌화 물결과 세계의 공장으로서 중국의 부상은 형제에게 날개를 달아줬다. 리앤펑의 매출은 1992년부터 2006년까지 22% 이상의 연평균 성장률을 기록했다.
― 현재 공장이 하나도 없는데, 공장을 직접 가져보고 싶다는 생각은 안 해 보셨는지요?
"사실 1950~1960년대만 해도 우리는 공장을 많이 갖고 있었습니다. 저의 삼촌은 플라스틱 조화(造花)를 만들기 시작했고, 뒤에 완구도 만들었습니다. 하지만 아버지와 삼촌은 1950년대 말부터 1960년대 초까지 공장을 팔기로 결정했습니다. 이유는 매우 간단합니다. 우선 하나의 공장으로는 부족하다는 문제가 있고, 또 어떤 업종에서 공장을 하나 가지면 그 업종에 있는 다른 모든 공급업자와 이해의 상충 문제가 생깁니다. 즉 그들이 경쟁자로 생각하기 때문에 협력을 얻을 수 없게 되지요. 따라서 공장을 하나도 안 가지고 전체 시장에서 구매하는 게 더 낫습니다."
― 소비자 니즈가 급변하고 있습니다. 소비자들이 점점 관심을 갖는 요구는 무엇이며, 이에 어떻게 대응해야 합니까?
"소비시장 변화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욕구의 단편화(斷片化·fragmentation)입니다. 그래서 작은 시장, 틈새시장들이 요구되죠. 헨리 포드는 검은 차 하나만 만들면 됐습니다. 대량 생산이죠. 하지만 요즘 사람들은 남과 다르기를 원합니다. 나는 당신과 똑같은 옷을 입고 싶어하지 않습니다. 기업엔 가장 큰 도전입니다. 전체 시장은 꽤 정확히 전망할 수 있으나, 작은 부분 시장은 수요가 올랐다 내렸다 매우 전망하기 어려우니까요.
이 문제에 대한 제 대응책은 마지막 순간까지 어떤 물건을 구매할지 결정을 늦추는 것입니다. 시장으로부터 가장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기다리고 또 기다렸다가 결정을 하죠. 왜냐하면 가장 위험한 것은 시장이 원치 않는, 잘못된 제품을 구매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이렇게 하려면 주문과 선적 사이의 소요 시간(turnaround time)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 유연한 조직을 위해 사내에 '작은 존 웨인'들을 키운다
― 공급사슬이 세계화되면서 기업들은 충격과 피해에 더 많이 노출되고 있습니다. 공급사슬의 어느 한쪽에 문제가 생기면 그 공급사슬의 전체 기업이 영향을 받습니다. 기업들은 어떻게 대처해야 하나요?
"글로벌 공급사슬은 매우 개방된 시스템이므로 충격에 영향을 받기 쉽다는 것은 확실합니다. 한 가지 드릴 수 있는 말은 유연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9·11 테러 때 많은 사람이 저희에게 물었습니다. 공급사슬이 무너지느냐고요. 하지만 그런 일은 없었습니다. 물건을 뉴욕으로 보낸다고 할 때 가는 길은 여러 가지입니다. 뉴욕으로 직접 가지 않아도 캐나다를 거칠 수도 있고, 미국 동부가 아닌 서부나 남부로 우회할 수도 있고. 글로벌 공급사슬이 가는 길은 여러 가지입니다."
― 공급업자들에게는 어떤 것을 강조합니까?
"한가지 늘 강조하는 것은 법과 규정을 준수하라는 것(vendor compliance)입니다. 우리와 함께 일하려면 노동이나 환경 등 엄격한 기준을 만족시켜야 합니다. 이것만 담당하는 우리 회사 직원이 수백명입니다. 물론 우리는 바이어에게 좋은 가격을 제공해야 합니다. 하지만 낮은 가격은 보다 효율적인 운영과 생산성 향상, 공정 혁신 이런 것들로부터 와야지 컴플라이언스의 희생으로부터 와서는 안 됩니다. 리앤펑, 그리고 우리 바이어의 명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니까요. 우리는 어느 공장이 너무 싸게 물건을 제공하는 것을 원하지 않습니다. 그렇게 싸다면 뭔가 잘못된 게 있다는 것을 아니까요. 뭔가 나쁜 원자재를 쓰거나, 아니면 노동자를 착취하거나 말입니다."
펑 회장은 평평하고 변화무쌍한 세상에서 살아남기 위해 기업은 유연한 조직이 돼야 한다고 강조한다. 그는 자신이 지향하는 조직 문화를 '크지만 작은 기업(big small company)'이라고 설명했다.
"큰 기업을 만들기 위해 큰 관료주의를 만들어서는 안 된다는 의미입니다. 리앤펑이 가장 중요시하는 가치가 바로 기업가 정신입니다. 우리는 이것을 위해 조직에 작은 사업단위(unit)들을 만들어 각기 자율적으로 움직이게 합니다. 저는 이들을 '작은 존 웨인들(Little John Waynes)'이라고 부릅니다."
― 존 웨인요?
"예. 서부 영화를 보면 존 웨인이 대열 앞에 서서 큰 소리로 명령을 내리고 나쁜 녀석들에게 총을 쏘죠. 우리의 사업 단위들도 그렇습니다. 각기 30~50명 정도로 구성돼 있는데, 리더, 즉 작은 존웨인들이 조직을 움직입니다. 우리는 현재 300개의 사업단위를 갖고 있습니다. 그들은 마치 자신의 사업을 하는 것처럼 일합니다. 월급쟁이가 아니라 말입니다. 존 웨인이 되면 무엇을 얼마에 팔지, 이윤 중에서 얼마를 보너스를 가져갈지 모든 게 자유입니다."
■ 보호주의는 중소기업에 가장 큰 타격이 될 것
― 세계가 평평하다지만 최근 글로벌 금융위기로 다시 울퉁불퉁해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지금도 공급사슬 지휘자의 역할이 여전히 중요한가요?
"물론입니다. 더욱더 필요합니다. 지난 10~20년간 세계가 번영한 것은 지구가 평평해졌기 때문입니다. 장벽을 부쉈기 때문이죠. 그러나 글로벌 금융위기로 보호주의(protectionism)가 다시 오고 있습니다. 최근 각국 정부가 내놓는 경기 부양책을 보면 뭔가 보호주의적인 요소들이 있습니다. 보호주의가 되면 지구는 다시 울퉁불퉁해 집니다. 그리고 공급사슬은 더 이상 작동하지 않게 됩니다.
글로벌 공급사슬의 중요한 기여는 중소기업도 글로벌 무대에서 경쟁할 수 있게 해줬다는 것입니다. 예전엔 모든 것이 수직적으로 통합됐고, 모든 것이 한 공장 안에서 이뤄졌습니다. 그러나 지금은 모든 사람이 공급사슬의 일부분을 담당하고, 그 분야의 전문가가 될 수 있습니다. 그런데 글로벌 금융위기로 보호주의가 실제적인 위협이 됐고, 중소기업이 가장 타격을 받을 수 있습니다. 우리가 이것을 방치해 우리가 그동안 이룬 것들을 파괴하게 한다면 정말 수치스런 일입니다."
그는 이 대목에서 배석한 한 여성 임원에게 "그렇지 않아요, 줄리? 우리가 중소기업에 많은 기회를 주지 않아요?"라고 물었다.
― 귀하는 FTA(자유무역협정)와 같은 양자(兩者) 협정을 비판하면서 다자간(多者間) 협정이 필요하다고 역설해 왔습니다. 하지만 도하라운드와 같은 다자간협정의 체결 가능성이 요원한 마당에 FTA는 차선책이 될 수 있지 않을까요?
"(웃으며) 동의하지 않습니다. 저는 제 인생 전부를 통틀어서 다자주의자였습니다. 홍콩에서 다자주의는 모든 게임의 룰이었고, 우리 모두는 이것으로부터 혜택을 받았습니다.
양자주의가 무엇이 문제인지 아세요? 모든 사람이 양자주의가 차선이라고 생각하면, 누구도 다자주의를 열심히 안 하려 할 것입니다. 다자주의는 벽돌로 쌓은 벽과 같습니다. 모든 사람이 그 벽에서 벽돌을 하나씩 꺼낸다고 생각해 보세요. 한개, 두개, 열개라면 몰라도, 50개를 빼낸다면 벽이 무너지고 말 것입니다. 세상이 양자주의로만 연결되면 너무 복잡해 집니다. 비용이 너무 많이 들고, 비즈니스는 작동하지 않을 것입니다."
― (동생인) 윌리엄 펑 사장과 역할 분담은 어떻게 하고 있나요?
"나는 말하고(talk), 그는 운영(run)합니다.(웃음) 동생이 이렇게 말한 적이 있습니다. 제 이름 빅터의 첫 글자 V는 '비전(vision)'을 의미하고, 자기 이름 윌리엄의 첫 글자 W는 '일(work)'을 의미한다고요. 회사 일을 매일 실제로 처리하는 것은 윌리엄입니다."
― 귀하는 홍콩의 다른 재벌들과 달리 집 외에는 부동산을 거의 소유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부동산을 사지 않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우리의 소명(commitment)은 무역 비즈니스이니까요. 이것이야말로 저와 우리 가족 모두의 에너지가 향해 있는 곳입니다. 우리의 비교우위이고, 또 핵심역량입니다. 다른 사람은 부동산에 강하지만, 우리는 그렇지 않습니다."
리앤펑 (Li&Fung)
1906년 설립된 세계적인 소싱(sourcing) 전문 무역회사 그룹이다. 주력 기업인 리앤펑 유한공사(Li & Fung Limited) 외에 유통 업체인 IDS그룹, 편의점 체인인 써클K와 성안나 베이커리를 경영하는 CRA 등 3개사가 홍콩 증시에 상장돼 있다. 이밖에도 비상장 계열사가 여럿 있다. 페라가모의 아시아 지역 유통망과 토이저러스의 아시아 판매권도 보유하고 있다.
지난해 리앤펑 유한공사는 전년보다 19.8% 늘어난 1107억 홍콩달러(약 17조9000억원)의 매출을 올렸으나, 순이익은 24억2000만 홍콩달러로 전년보다 21% 감소해 7년 만에 처음으로 감소세를 기록했다. 미국이 최대의 시장으로 매출의 62%를 차지하며, 유럽이 29%를 차지한다. 지난해 의류 전문 공급회사인 마일즈(Miles) 패션그룹을 인수한 데 이어 지난 2월엔 미국의 패션회사인 리즈클레어본(Liz Claiborne)을 인수했다.